728x90
반응형
한자(漢字)로 유료와 무료 그리고 수수료는 어떻게 생긴 글자를 쓰는지 볼게요.
우리의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낱말인 유료, 무료, 수수료를 먼저 한자의 생김을 보고 읽을 수 있도록 해요.
읽는 것에 익숙하게 되면 본 것을 기억하여 적을 수도 있을 거예요.
방실이와 친구들도 함께 읽고 적어볼 것이라서 관련된 한자로 쓸 수 있는 쉬운 낱말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도 알아보기로 해요.
유료(有料)와 무료(無料) 한자로 읽고 쓰기

1. 有(있을 유)- 유(有) 한자는 月(달 월 -4획)을 부수(部首 - 나눌 부, 머리 수)로 하며 6획(劃 - 새길 획)의 글자입니다.
부수는 한자 사전에서 글자를 찾을 때 한글 사전에서 가나다라 순서로 찾는 것처럼 기준이 되는 글자를 말해요.
획은 펜을 몇 번에 적는 것인지를 말해요. 한글의 가 글자는 3번에 적어요. 어른들은 2번에 휘리릭 적기도 하지만 방실이 친구들은 그러기 없기로 해요.
처음 글자 쓰기를 반듯반듯하게 적는 습관은 중요해요.
못생기게 아무렇게나 마구 쓰다 보면 자신이 적어 놓은 글을 뭐라고 적어 놓은 것인지 자기도 읽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답니다.
유(無) 한자는 무엇인가 있음을 나타내는 말의 글자예요.
상품을 구입할 때 물건 값으로 돈을 내야 하거나 대가가 있음을 유료(有料)라고 해요.
극장과 전시장 또는 놀이시설 등에 들어가기 위해 유료입장표(有料入場票)를 구입하며, 문화센터와 복지센터 등에서 유료 강좌(有料講座)로 종이접기와 만들기 등의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등에 참여할 수 있어요.
웹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할 때 유료 회원(有料會員)으로 가입하기도 하며 금액을 지불하기도 해요.
사람이 많이 모이는 지역과 장소에는 유료주차장(有料駐車場)이 있어요.
방실이가 씩씩하게 줄넘기를 하는 유산소 운동(有酸素 運動)에도 적는 유(有) 한자입니다.
똘똘하게 좋아하며 잘하는 것이 돋보이는 어린이는 그 분야의 유망주(有望株)이며 잘 성장하여 빛나길 바라요.
그러니까 한자의 유(有) 글자는 있다 와 없다 중 뭐다?
빈칸을 채워 보세요. 답은 ( ? )가 맞습니다.
있음과 없음을 말할 때 유무(有無)라고 해요.
有 한자는 어른들이 사용하는 낱말에도 많으며 알아두면 다른 낱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거예요.
◆ 유(有) 한자(漢字 - 한수 한, 글자 자)에 쓰인 글 읽어보기
유료(有料 - 있을 유, 헤아릴 료)
유료입장표(有料入場票 - 있을 유, 헤아릴 료, 들 입, 마당 장, 표 표)
유료 강좌(有料講座 - 있을 유, 헤아릴 료, 익힐 강, 자리 좌)
유료 회원(有料 會員 - 있을 유, 헤아릴 료, 모을 회, 수효 원)
유료주차장(有料駐車場 - 있을 유, 헤아릴 료, 말 머물 주, 수레 차, 마당 장)
유산소 운동(有酸素 運動 - 있을 유, 헤아릴 료, 초 산, 흴 소, 운전할 운, 움직일 동)
유망주(有望株 - 있을 유, 바랄 망, 그루 주)
유무(有無 - 있을 유, 없을 무)
2. 無(없을 무) - 무(無) 한자는 연화발(연화 발-4획)을 부수로 하며 12획의 글자입니다.
한자-灬 불화 火가 받침으로 쓰일 때 표기하는 모양의 글자입니다.
무(無) 한자는 무엇인가 없음을 나타내는 말의 글자예요.
전혀 아무것도 없음을 말할 때 전무(全無) 하다고 해요.
행동하지 않는 아무런 뜻도 없고 가치도 없는 말은 무의미(無意味) 하며, 하려는 일에 대해 계획하고 실천하여 노력하고 애씀이 무용지물(無用之物)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중요해요.
어른들이 비유적으로 말하는 유전무죄(有錢無罪)에도 적는 글자이며, 이름만 있고 실속이 없음을 말하는 유명무실(有名無實)에도 쓰는 글자로 겉만 번지르하다는 표현을 하기도 해요.
유구무언(有口無言)은 입이 있어도 할 말이 없다는 뜻으로 잘 못을 하였을 때 핑계와 변명을 할 수 없을 때 유구무언이라는 말을 해요.
無(무) 한자는 똘똘이와 어린이들도 잘 알 수 있는 말로 알려지지 않은 사람을 일컫기도 하는 무명(無名), 핸드폰과 이어폰 그리고 마이크와 청소기 등의 무선(無線)이 있어요.
무인(無人)으로 된 생활편의 시설로는 현금인출기와 식음료와 티켓등의 자판기가 있어요. 가게와 식당 등에서는 로봇이 서비스를 하기도 하며 주문이나 계산을 하기도 해요.
무료(無料)처럼 대가를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공짜에도 사용하는 無(무) 한자입니다.
무궁화(無窮花)는 여름 내내 피고 지고 피고 지는 대한민국(大韓民國)의 나라꽃 국화(國花)입니다.
여름 7월에서 10월까지 100여 일 동안 피고 지고를 지속하는 무궁화 꽃의 꽃말은 은근, 끈기, 섬세한 아름다움이라고 합니다.
◆ 무(無) 한자(漢字 - 한수 한, 글자 자) 에 쓰인 글 읽어보기
무(無 - 없을 무, )
전무(全無 - 온전할 전, 없을 무, )
무의미(無意味 - 없을 무, 뜻 의, 맛 미)
무용지물(無用之物 - 없을 무, 쓸 용, 갈 지, 만물 물)
유전무죄(有錢無罪 - 있을 유, 돈 전, 없을 무, 허물 죄)
유명무실(有名無實 - 있을 유, 이름 명, 없을 무, 열매 실)
유구무언(有口無言 - 있을 유, 입 구, 없을 무, 말씀 언)
무명(無名 - 없을 무, 이름 명)
무선(無線 - 없을 무, 줄 선)
무인(無人 - 없을 무, 사람 인)
무료(無料 - 없을 무, 헤아릴 료)
무궁화(無窮花 - 없을 무, 다할 궁, 꽃 화)
대한민국(大韓民國 - 큰 대, 한나라 한, 백성 민, 나라 국),
국화(國花- 나라 국, 꽃 화)
3. 料(헤아릴 료) - 료(料) 한자는 斗(말 두-4획)를 부수로 하며 10획의 글자입니다.
료(料) 한자는 어떠한 것의 기본과 바탕이 되는 말에 붙여 사용해요.
종이접기와 만들기를 할 때 보고 따라 하거나 참고하기 위한 자료(資料)가 필요하며, 음식을 요리할 때도 야채와 소스 등의 재료(材料)가 필요해요.
위에서 배웠던 유와 무 글자에 료 글자를 붙여 유료(有料)와 무료(無料)라고 하는 것도 알게 되었어요.
◆ 료(料)와 닮은 글 하나 더 알아보기
料(료)와 닮은 글자로는 科(과정 과) 글자가 있으며 교과서의 과목(科目)에 쓰이는 글자예요.
料 글자는 米(쌀 미) 글자와 斗(말 두) 글자를 합하여 적은 글자이며, 科(과정 과) 글자는 禾(벼 화) 글자와 斗(말 두)를 적었어요. 노트에 크게 몇 번 적어보면 잊지 않고 기억할 수 있을 거예요.
예로, 비교적 작은 잘못에 대해 금전적 벌금을 물게 할 때 쓰는 과료(科料)라는 말에 적는 글자예요.
벌금이나 청구 날자를 지나서 더 많이 내야 하는 낱말의 한자에는 과태료(過怠料)라고 적어요.
유료와 무료의 글자를 한자로 여러 번 적는 것이 힘들지는 않았나요?
힘이 들고 지루할 때는 쉬엄쉬엄 쉬어가며 해요.
어머나 방실이는 다 적었나 봐요. 큰 소리로 읽기도 하네요. 참! 잘했어요. 정말 정말 잘하네요. 칭찬해요.
料 한자를 포함한 한문(漢文)에서 본 글자를 다시 한번 써 보고 다음 수수료 글자도 배워보기로 해요.
◆ 료(料) 한자(漢字 - 한수 한, 글자 자)에 쓰인 글 읽고 써보기
료(料 - 헤아릴 료, 되질할 료)
자료(資料 - 재물 자, 헤아릴 료)
재료(材料 - 재목 재, 재목 재)
유료(有料 - 있을 유, 헤아릴 료)
무료(無料 - 없을 무, 헤아릴 료)
과목(科目 - 과정 과, 눈 목)
미(米 - 쌀 미)
두(斗 - 말 두)
화(禾 - 벼 화)
과료(科料 - 과정 과, 헤아릴 료)
과태료(過怠料 - 지날 과, 게으를 태, 헤아릴 료)
한문(漢文 - 한수 한, 글월 문)
🙂
수수료(手數料) 한자 읽고 써보기

4. 手(손 수) - 수(手) 한자는 본 글자를 부수로 하며 4획의 글자입니다.
수(手) 한자는 손과 관련된 글자에 많이 사용하며, 어떠한 일과 목적의 대표성을 말할 때 함께 쓰는 말에 사용하는 글자예요.
手를 글자를 함께 적는 낱말에는 세수(洗手)를 하고 손을 닦는 수건(手巾)이 있어요.
만나면 반갑다고 손을 맞잡으며 악수(握手)를 하며, 좋은 일에는 칭찬하거나 손뼉을 치는 박수(拍手)에도 적는 한자 手에요.
부주의하여 손에 든 컵을 떨어트리는 실수(失手)를 하기도 하며, 전하지 말아야 할 말을 전하거나 웃지 말아야 장소와 상황에서 커다랗게 웃고 떠들며 장난치는 실수언행(失手言行)은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지요.
운동을 하는 선수(選手)와 노래하는 가수(歌手), 나무를 이용하여 집을 짓거나 만들기를 하는 사람을 목수(木手)라고 할 때 手(수) 한자를 적어요.
교통수단(交通手段)에는 자동차 비행기 손수레 등이 있으며, 게임, 스포츠, 요리, 만들기 등등 어떠한 분야에서 뛰어난 사람을 고수(高手)라고 할 때 적는 手 한자예요.
이렇듯 손에 따른 말을 할 때 사용하는 手 한자이며, 아래의 더 보기 글에서는 손과 발을 적는 수족(手足)에 대한 한자 글자도 살펴볼 수 있어요.
◆ 수(手) 한자(漢字 - 한수 한, 글자 자)와 함께 쓰인 글 읽어 보기
수(手 -손 수 )
세수(洗手 - 씻을 세, 손 수)
악수(握手 - 쥘 악, 손 수)
박수(拍手 - 손뼉칠 박, 손 수)
실수(失手 - 잃을 실, 손 수)
실수언행(失手言行 - 잃을 실, 손 수, 말씀 언, 다닐 행/ 갈 행)
선수(選手 - 가릴 선, 손 수)
가수(歌手 - 노래 가, 손 수)
목수(木手 - 나무 목, 손 수)
교통수단(交通手段 - 사귈 교, 통할 통, 손 수, 구분 단 / 조각 단)
5. 數(셀 수) - 수(數) 한자는 攵(등글월 문-4획)을 부수로 하며 15획의 글자입니다.
수(數) 한자는 똘똘이의 교과서 중 수학(數學) 책에도 적는 글자이며, 一, 二, 三, 四, 五(일이삼사오) 숫자를 세고 말할 때 사용하는 數(수) 한자입니다.
수천(數千), 수백만(數百萬)과 같이 아주아주 많다는 것을 말할 때 사용하기도 해요.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듣고 결정을 할 때는 과반수(過半數), 또는 다수(多數)의 결정에 따르기도 하지만, 소수의견(少數意見)도 존중하며 참고해야 할 필요가 있지요.
특정한 기술과 기능을 배울 때에는 급수(級數)의 순서대로 차근차근 배우며 실력을 쌓아 가게 돼요.
한국종이접기 협회의 종이접기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하여 어린이들은 3급(三級) 먼저 하고 나서 2급(二級)을 한 다음에 1급(一級) 자격증을 취득하면 종이박사 메달도 받게 된답니다.
청소년과 성인들은 초급(初級)을 먼저 시작하면서 아주 기초적인 부분부터 배우게 되지요.
數(수) 한자는 생긴 모양이 복잡해 보이기도 하지만, 글자 하나하나씩 떼어서 써보며 생긴 모양을 살피면 방실이도 잘 적을 수 있을 거예요.
◆ 수(數) 한자(漢字 - 한수 한, 글자 자)와 함께 쓰인 글 읽어 보기
수(數 - 셀 수)
수학(數學 - 셀 수, 배울 학)
일이삼사오(一二三四五 - 한 일, 두 이, 석 삼, 넉 사, 다섯 오)
수천(數千 - 셀 수, 일천 천)
수백만(數百萬 - 셀 수, 일백 백, 일만 만)
과반수(過半數 - 지날 과, 반 반, 셀 수)
다수(多數 - 많을 다, 셀 수)
소수의견(少數意見 - 적을 소, 셀 수, 뜻 의, 볼 견)
급수(級數 - 차례 급, 셀 수)
삼급,이급,일급(三, 二, 一 級 - 석 삼, 두 이, 하나 일, 차례 급)
초급(初級 - 처음 초, 차례 급)
6. 수수료(手數料) - 한자 읽고 적어보기
수(手) 한자와 수(數) 한자를 배우고 료(料)여러 번 읽고 적어 보았으니 이젠 글자 모양을 보고 읽을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렇지만 며칠 후(後)에는 또 잊을 수도 있지요.
그러면, 다음에 인터넷으로 배달 음식을 주문하거나, 물건 구입할 때 배송비와 수수료(手數料) 유무(有無)를 확인하면서 오늘 배웠던 한자를 떠올리며 기억해 보기로 해요.
얼른 손바닥에 손가락으로 한 번 적어보면 더 효과적으로 기억할 수 있을 거예요.
◆ 수수료(手數料) 한자(漢字 - 한수 한, 글자 자)와 함께 쓰인 글 읽어 보기
수수료(手數料 - 손 수, 셀 수, 헤아릴 료/ 되질할 료)
수(手 - 손 수)
료(料 - 헤아릴 료/ 되질할 료)
후(後 - 뒤 후)
수수료(手數料 - 손 수, 셀 수, 헤아릴 료)
유무(有無 - 있을 유, 없을 무)
🙂
자주 사용하는 말을 한자로 읽고 써 보기
우리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한자어를 읽으며 쉬운 글자는 써보기도 해요.
한자(漢字)---축하(祝賀)합니다. 감사(感謝)합니다.
한자(漢字)---축하(祝賀)와 감사(感謝)
축하합니다. 감사합니다. 글을 한자(漢字)로 읽고 쓰기 해요.
지금애 종이접기
부모님께 감사편지(感謝便紙)와 친구에게 생일 축하(生日祝賀) 카드에 한자로 감사와 축하 한자를 적어보면 기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한자(漢字)---국어 수학 초등 교과목-한자로 읽고 쓰기
한자(漢字)---국어 수학 초등 교과목
국어와 수학을 한자로 적어보기 초등학생들이 배우는 교과서의 국어와 수학을 한자로 적어볼 거예요.
지금애 종이접기
방실이가 공부(工夫)하는 책(冊)의 표지(表紙)에 적힌 국어(國語)와 수학(數學)을 한자를 읽고 써보며 관련되고 함께 쓰는 낱말도 알아보기로 해요.
한자(漢字)---눈코입귀(이목구비) 머리 얼굴 손발(수족)-신체(身體)한자
한자(漢字)---눈코입귀, 머리 얼굴 손발, 신체
신체를 표기하는 한자 중 머리와 손과 발(手足)은 한자(漢字)로 어떻게 생겼는지 적어볼 거예요.
지금애 종이접기
동그라미 하나 그려놓고 눈코입과 귀를 그린 후 이목구비(耳目口鼻)를 각 부분에 적어보며 한자로 써 보기로 해요.
한자(漢字)---월화수목금토일(요일 한자)
한자(漢字)---월화수목금토일(요일 한자)
날마다 보는 달력의 일곱 개의 요일 한자입니다.
지금애 종이접기
달력에 표기된 일주일(一週日)의 요일(曜日)을 한자로 적어보며 기억해서 언제든지 읽고 쓸 수 있도록 하면 정말 정말 멋질 거예요.
한자(漢字 - 한수 한, 글자 자) 복습하기
더 보기 글에서 보았던 한자입니다.
감사편지(感謝便紙 - 느낄 감, 사례할 사, 편할 편, 종이 지)
생일축하(生日祝賀 - 날 생, 날 일, 빌 축, 하례 하)
공부(工夫 - 장인 공, 사내 부)
책(冊 - 책 책)
표지(表紙 - 겉 표, 종이 지)
국어(國語 - 나라 국, 말씀 어)
수학(數學 - 셀 수, 배울 학)
이목구비(耳目口鼻 - 귀 이, 눈 목, 입 구, 코 비)
일주일(一週日 - 한 일, 돌 주, 날 일)
요일(曜日 - 빛날 요, 날 일)
종이접기와 만들기의 새 글들을 ★지금애 종이접기★에서 함께 할 수 있습니다.
한자 읽고 쓰기 우리 같이 해요~~^^
지금애 종이접기-419
지금애 종이접기https://noc26.tistory.com의 모든 글과 사진은 저작권 보호를 받고 있으며, 본 블로그 내의 모든 글과 사진은 무단 복사 및 재배포를 불허합니다.
♥ 오늘도 행복한 하루로 지내세요.
728x90
반응형
'♣지금은 > *한자와 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漢字)---시청각(視聽覺)-한자로 읽고 써보기 (1) | 2024.12.04 |
---|---|
한자(漢字)---축하(祝賀)합니다. 감사(感謝)합니다. (5) | 2024.04.15 |
한자(漢字)---국어 수학 초등 교과목-한자로 읽고 쓰기 (0) | 2023.10.18 |
한자(漢字)---의식주(衣食住) 한자 읽고 써보기 (0) | 2023.07.17 |
한자(漢字)---(色)색깔 한자-청홍황녹흑백(靑紅黃綠黑白) (0) | 2023.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