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신체를 표기하는 한자 중 머리와 손과 발(手足)은 한자(漢字)로 어떻게 생겼는지 적어볼 거예요. 똘똘이와 함께 동그라미 하나에 눈코입과 귀(耳目口鼻)를 귀엽게 표현하여 얼굴을 그려주고 각 부분을 한자로 써 보기로 하였어요.
어린이들이 말을 배우기 시작할 때 엄마, 아빠, 맘마를 처음 배우게 되지요. 엄마는 열심히 엄마와 아빠라는 말을 반복하며 알려주기 시작합니다.
아기가 우는 소리에 섞인 어~ , 아 ~~ 소리만 들어도 엄마라는 말을 했다고 자랑자랑 하며 우리 아이 천재인가 보다 하지요..
반응형
아이가 또박또박한 발음으로 말을 하게 되면 부모님의 마음은 바빠지기 시작하지요. 고사리 손을 잡아 눈 코 입 귀를 가리키며 알려주고 영어로도 알려줍니다.
연필을 잡기 시작하면 우리 아이 천재라고 생각하는 부모님은 아이보다 학습열에 고취되어 있으며 더 많은 관심을 보이지요.
한자를 재미있고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는 아주 가까이 있는 것부터 찾아서 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이 들어 똘똘이와 함께 쉬운 한자 낱말들을 찾아보며 하기로 했어요.
이미지로 만든 글자표를 보면서 적어 보고, 각자 더 재미있는 표현으로 기억하기를 해보면 좋겠지요.
▶머리(頭)와 얼굴(面)의 한자를 먼저 써보기로 해요.
머리(頭)는 신체(身體)의 일부로서 목 위에 있는 부분이며, 우리말과 글의 사용에서 '머리'는 머리카락을 말할 때도 같은 말을 사용하기도 해요. 단락의 말미에서는 함께 쓰인 한자의 훈음도 살펴볼 거예요.
사용하는 앞과 뒤의 말과 상황에 따라 머리를 말하는지 머리카락(毛髮)을 말하는지 알 수 있어요.
예로 '머리가 아파서 병원에 간다'라고 하였을 때와 '머리를 자르러 미용실에 간다'라고 하였을 때처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 머리와 머리카락을 말하는 것을 구분하게 됩니다.
그 밖에도 '머리가 좋다'라고 하는 것처럼 일상에서 흔히 여러모로 사용해요.
1. 頭(머리 두 ) - 한자(漢字)는 豆(두) 글자에 頁(혈)을 나란히 적은 글자이며 부수(部首)는 頁이에요.
頭(머리 두) 한자를 배우며 豆(콩 두) 한자와 頁(머리 혈) 한자도 더불어 배우면서 '콩 두 더하기 머리 혈은 머리 두' 말하며 적어보면 頭(두) 한자를 포함하여 어렵지 않게 세 글자를 알게 되지요.
頭 를 사용하는 말에는 대체적으로 대표성을 띠고 있는 말이 많이 있어요.
머리가 아플 때의 두통(頭痛), 머리카락을 말하는 두발(頭髮)과 같이 신체에 관한 말로 사용하지만, 글의 첫머리를 말하는 서두(書頭), 이야기의 말머리는 화두(話頭)에도 사용하는 말이에요.
행렬의 선두주자를 말할 때의 선두(先頭), 가두행진을 말할 때의 가두(街頭)와 같이 행위와 행동을 나타내는 말에도 쓰이는 頭(두) 한자입니다.
염두(念頭)하여 마음속에 생각하고 새겨둔다는 것을 말할 때 쓰기도 합니다.
철두철미(徹頭徹尾)라는 말은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빈틈없이 잘해야 한다는 말에 쓰는 한자어입니다.
2. 面(낯 면) - 한자는 머리의 앞을 말하는 글자이며 눈코입이 있는 얼굴 쪽에 적는 글자예요.
때에 따라서 顔(안) 한자로 쓰기도 하나 똘똘이가 쉽게 배워볼 수 있는 낱말이 많을 것 같은 面(면) 한자를 먼저 알아보기로 했어요.
신문의 1면, 2면 할 때도 面의 글자로 적으며, 영화의 한 장면(場面)과 같다고 할 때도 面 한자를 적어요. 사물의 바깥쪽을 말하는 표면(表面), 앞쪽으로 마주 보는 정면(正面), 사람의 관계에서 쓰이는 체면(體面)과 같이 눈으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 두루두루 사용을 많이 하는 面(면) 한자입니다.
면(面) 한자는 주소를 적을 때도 사용하는 글자입니다. 똘똘이 친구 중에는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霞城面)에 사는 친구와 대곶면(大串面)에 사는 친구도 있대요.
두(頭), 면(面) 한자(漢字)와 함께 읽어 보기
頭 漢(한수 한), 字(글자 자), 頭(머리 두), 面(낯 면), 身(몸 신), 體(몸 체), 모(털 모), 髮(터럭 발), 荳(콩 두), 頁(머리 혈), 部(떼 부), 首(머리 수), 痛(아플 통), 髮(터럭 발), 書(글 서), 話(말할 화), 先(먼저 선), 街(거리 가), 念(생각할 염), 徹(통할 철), 尾(꼬리 미)
面 顔(얼굴 안), 場(마당 장), 表(겉 표), 正(바를 정), 體(몸 체), 霞(노을 하), 城(성 성, 나라 성), 大(큰 대), 串(곶 곶)..
반응형
관심이 생기는 쉬운 글자를 찾아 써 보며 기억하기 해요. 잊으면 다음에 또 하면 되지요.
▶이목구비(耳目口鼻)를 한자로 써보고 읽기도 해요.
귀로 듣고, 눈으로 보고, 코로 숨을 쉬며 냄새를 맡고, 입으로 말하고 먹으니 어느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아이들이 말하기를 시작하면 손가락으로 눈, 코, 입을 가리키며 알려줍니다. 말하기를 눈코입 귀 순서로 하나 글을 보면 '이목구비'라 하여 귀를 먼저 적은 것을 볼 수 있어요.
학습을 하거나 사회관계에서 듣는 것이 먼저이며 가장 중요한 부분인 것처럼 귀를 앞에 적었다 생각하며 우리도 이목구비 순서대로 알아보기로 해요.
3. 耳(귀 이 ) - 한자(漢字)는 귀를 적는 한자어이며 몇몇은 일상에서 자주 말하기도 하며 사용하는 낱말임을 알 수 있어요.
똘똘이가 콧물감기에 걸려 아야야 하면 이비인후과(耳鼻咽喉科)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해요.
귓병 중의 하나인 중이염(中耳炎)과 이명(耳鳴)이라는 말에도 쓰고요.
남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흘려버린다는 말을 마이동풍(馬耳東風)이라 해요.
아무리 가르치고 알려주어도 잘 못 알아듣는다는 말로 우이송경(牛耳誦經), 또는 우이독경(牛耳讀經)이라 해요.
전라도 지역에 있는 마이산(馬耳山)과 냠냠 맛있는 잡채에 넣는 목이(木耳) 버섯의 이름에도 쓰이는 것처럼 귀의 모양을 나타내는 말에 쓰이는 耳(이) 한자입니다.
4. 目(눈 목 )- 한자(漢字)는 눈의 모양을 표현한 글자로 상형문자(象形文字)라고 해요.
目은 날 일(日) 글자 중간에 사다리 같이 줄을 하나 더 그어 적은 모양이에요.
눈 모양의 그림글자가 변화된 것이라고 해요. 중간에 있는 두 줄이 눈동자 모양이 변한 건가 봐요.
목(目) 한자는 우리가 늘 사물을 보는 것만큼이나 자주 사용하는 말 중에도 目(목)과 관련된 낱말들이 많이 있으며 똘똘이가 알고 있는 낱말에도 目 한자를 쓰는 말이 여러 개 있어요.
글을 적을 때 내용에 맞는 제목(題目)을 정하기도 하며, 무엇을 하려고 할 때 목표(目標)와 목적(目的)을 정하기도 해요.
하니와 같은 꼬마들은 한글 낱말을 배우기 시작할 때 목표와 목적을 구분하기 어려워하기도 해요.
하니가 산에 오르려고 할 때 산꼭대기 지점이 목표이면, 오르는 과정에서 이유가 되는 건강, 오르는 길, 자연 학습 등등은 목적이 된다고 알려줍니다. 그래도 금방 또 어려워하는 하니의 한글 공부입니다.
상점에는 품목(品目) 별로 정리를 해 놓았으며 물건을 구입하면 영수증에는 목록(目錄)이 적혀 있어요.
이미 배운 글자와 함께 적는 낱말에는 여러 사람과 무리를 거느리는 두목(頭目), 면목(面目)이 없다와 같이 어른들이 부끄러움과 미안함을 말할 때도 쓰이는 目 글자입니다.
귀와 눈(耳, 目) 한자(漢字)와 함께 읽어 보기
耳/ 耳(귀 이), 目(눈 목), 口(입 구), 鼻(코 비), 漢(한수 한), 字(글자 자), 咽(목구멍 인), 喉(목구멍 후), 科(과정 과), 中(가운데 중), 炎(불꽃 염), 鳴(울 명), 馬(말 마), 東(동녘 동), 風(바람 풍), 牛(소 우), 誦(욀 송), 經(지날 경), 讀(읽을 독), 山(뫼 산), 木(나무 목)
目/ 象(코끼리 상), 形(형상 상), 文(글월 문), 字(글자 자), 日(날 일), 題(제목 제), 標(표할 표), 的(과녁 적), 品(물건 품), 錄(기록할 록), 頭(머리 두), 面(낯 면)..
반응형
5. 口(입 구) - 한자(漢字)는 얼굴의 입을 가리키는 한자이며, 들어가는 것을 표현하는 말에 사용해요.
네모 모양으로 생긴 口(구) 한자는 따로 쓰기도, 因(인할 인)과 困(곤할 곤), 또는 國(나라 국)처럼 口(큰입구) 글자 안에 다른 한자를 넣어 쓰기도 하며, 知(알 지)와 智(지혜 지)처럼 전혀 다른 한자와 한 곳에 모아 적기도 해요.
구(口) 한자는 똘똘이도 알고 있는 한자로 일정 지역의 사람 수를 말하는 인구(人口), 한 집에 살며 주거와 생계를 같이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이르는 가구(家口), 같이 살며 끼니를 함께 하는 식구(食口), 드나드는 문이 있는 곳인 출입구(出入口) 등을 써 본 적 있어서 읽을 수 있는 한자랍니다.
항구(港口), 포구(浦口), 하구(河口) 등을 쓸 때도 적는 글자입니다.
6. 鼻(코 비) - 한자(漢字)는 코를 가리키는 글자로 鼻가 부수(部首)인 글자랍니다.
한자의 부수는 한글의 자음인 ㄱ, ㄴ, ㄷ, ㄹ과 같은 역할을 해요.
한글 사전에서 감자를 찾을 때 ㄱ에서 가를 찾고 감을 찾는 순서로 하듯이, 한자 사전인 옥편(玉篇)에서 兄(형)과 右(우) 글자를 찾을 때 口(구)로 찾은 후 총획으로 찾게 되는 것이지요. 兄과 右 글자는 3획의 부수인 口에서 5획의 글자에서 찾으면 있답니다.
귀눈입코의 한자 표기인 이목구비(耳目口鼻)를 커다란 얼굴 그려 놓고 적어보면 그림도 재미있고 글의 모양도 재미있게 기억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한자는 모양을 본떠서 만든 상형글자가 많다고 해요. 우리는 만들어진 글자를 그림으로 그리면서 놀며 학습하면 재미있을 거예요.
입과 코(口, 鼻) 한자(漢字)와 함께 읽어 보기
口 口(입 구), 人(사람 인), 家(집 가), 食(밥 식), 出(날 출), 港(항구 항), 浦(물가 포), 河(물 하)
鼻 鼻(코 비), 漢(한수 한), 字(글자 자), 部(나눌 부), 首(머리 수), 玉(구슬 옥), 篇(책 편), 兄(맏 형), 右(오른 우), 耳(귀 이), 目(눈 목), 口(입 구), 鼻(코 비)..
반응형
▶ 수족(手足)을 한자로 써보고 읽기도 해요.
수족은 손과 발을 말해요. 수족의 한자를 읽어보고 글 단원의 말미(末尾)에서는 각 한자의 훈음도 함께 살펴보도록 할게요.
7. 수(손 수) - 한자(漢字)는 手 자체를 부수로 하는 글자이며 획수는 4획이에요.
手를 부수로 하고 다른 글자와 합하여 만들어진 글자에는 才(재주 재)와 扌(재방변)으로 적은 것을 볼 수 있으며 손과 관련된 글자임을 알 수 있어요.
手 글자를 적을 때의 순서는 중간에 내려 적는 획을 나중에 해요.
똘똘이가 보이지 않는 뒤에서 물어보아도 삐침 두이 아래로 적는다고 간단하게 기억할 수 있게 설명할 수 있어요. 똘똘이도 설명 말을 따라 하면서 적으니 잊지 않고 기억할 수 있어요.
부수(部首)는 한자 사전인 옥편에서 글을 찾기 위한 한글의 가나다라와 같은 역할을 하는 글자이며, 획수(劃數)는 글자를 적을 때 몇 번의 순서로 적는지를 말하는 거예요.
수(手) 한자는 손과 관련된 말로써 자주 사용하며 똘똘이와 방실이도 익숙한 낱말이에요.
세수(洗手)를 한 다음에는 수건(手巾)으로 물기를 닦아요.
가수(歌手)의 아름다운 노래와 운동선수(選手)의 멋진 모습에 박수(拍手)를 치기도 하지요.
어른들은 오래간만에 만나 반갑다고 악수(握手)를 하기도 하며, 목수(木手)와 운전수(運轉手)처럼 직업을 말할 때 쓰이는 글자입니다. 수공예(手工業), 수순(手順), 교통수단(交通手段) 등과 같이 손과 관련된 것과 먼저이거나 중요함을 나타내는 글자로 일상에서도 많이 쓰이는 手(수) 글자입니다.
8. 足(발 족) - 한자(漢字)는 足 한자 자체를 부수로 하는 글자이며 획수는 7획의 글자입니다.
족(足) 한자는 발을 가리키는 말이며 손과 발을 같이 말할 때 수족(手足)이라고 해요.
그 외에도 만족(滿足)이나 부족(不足), 또는 충족(充足)과 같이 채움과 모자람에 대해서도 쓰이는 글자입니다.
어린이들이 아야야 하는 수족구병(手足口病)에도 쓰는 한자이며, 兄(형)들이 좋아하는 족구(足球)에도 쓰는 글자입니다.
어른들이 사용하는 언어로는 모임이나 단체를 시작하는 발족식(發足式)과 정족수(定足數)에도 쓰는 것처럼 시작이나 대표성을 나타낼 때 사용하기도 하는 足(족) 한자입니다.
손과 발(手, 足) 한자(漢字)와 함께 읽고 써 보기
手 手(손 수), 足(발 족), 末(끝 말), 漢(한수 한), 字(글자 자), 部(나눌 부), 首(머리 수), 劃(그을 획), 數(셀 수), 洗(씻을 세), 巾(수건 건), 歌(노래 가), 選(가릴 선), 拍(손뼉칠 박), 握(쥘 악), 木(나무 목), 運(운전할 운), 轉(구를 전), 工(장인 공), 業(업 업), 順(순할 순), 交(사귈 교), 通(통할 통), 段(조각 단)
足 足(발 족), 滿(찰 만), 不(아닐 부), 充(가득할 충), 口(입 구), 病(병들 병), 兄(맏 형), 球(공 구), 發(필 발), 式(법 식), 定(정할 정), 數(셀 수)
손과 발의 손가락을 접으며 몇 개인지 놀이처럼 한자로 숫자를 적어 보아요.
다시 한번 이목구비(耳目口鼻)와 수족(手足)을 적어 보며 사용하는 낱말 중에 있는 낱말은 무엇이 있는가 살펴보고 기억하기 쉬운 글자는 가끔 적어 보며 기억하기로 해요.
지금애 종이접기-369
반응형
똘똘이도 방실이도 함께 배워보는 한자 읽고 쓰기였습니다. 함께 해요 ~~^^
728x90
반응형
'♣지금은 > *한자와 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漢字)---국어 수학 초등 교과목-한자로 읽고 쓰기 (0) | 2023.10.18 |
---|---|
한자(漢字)---의식주(衣食住) 한자 읽고 써보기 (0) | 2023.07.17 |
한자(漢字)---(色)색깔 한자-청홍황녹흑백(靑紅黃綠黑白) (0) | 2023.05.30 |
한자(漢字)-초중고 학교와 성명(이름)-한자 써보기 (0) | 2023.04.14 |
한자(漢字)---일십백천만억조 한자 - 숫자 단위 읽고 써보기 (0) | 2023.02.18 |
한자(漢字)---생년월일(生年月日)세(歲)-한자로 내 나이 써보기 (0) | 2023.01.25 |
한자(漢字)---부모 형제 자녀 가족 - 한자로 읽고 쓰기 (0) | 2023.01.11 |
한자(漢字)---고저장단(高低長短) 한자-높고 낮음과 길고 짧음 (0) | 2022.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