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금은

한자(漢字)-대한민국 춘하추동 8글자 한자로 읽고 써보기

반응형

대한민국(大韓民國) 한자를 읽을 수 있도록 써보며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의 춘하추동(春夏秋冬) 한자를 써 보며 각 계절에 맞는 기후와 풍경 또는 식물과 과일 등의 특징적인 것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어 보도록 해요.

대한민국 춘하추동을 한자로 적고 (훈 음)을 적어 글자표로 만들었습니다.
대한민국 춘하추동 한자

대한민국(大韓民國) 한자의 훈음(訓音)과 각 한자와 함께 사용하는 문자

1.() - 두 팔 벌리고 ''나 크지~~?''하고 있는 것 같은 글자 모양이에요.

지난번에 대중소(大中小) 한자(漢字) 배울 때 써 본 적 있어서 기억하는 글자예요.

일상에서 쉽게 접하는 낱말 속에 大(대) 한자가 들어가는 낱말도 몇 가지 배웠어요.

그래도 몇 가지 더 알아보면  어디에서 본 듯하고 익숙한 글자도 있어 기억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대(大) 한자는 부강하고 큰 나라를 말하는 강대국(强大國)을 적을 때 쓰며 강대국은 전체적인 부를 이루고 있는 나라를 말하기도 하지만 축구 강대국 또는 IT 강대국처럼 어는 한 부분에도 사용해요.

(Information-정보, Technology-기술)

주소를 적을 때나 길의 표지판에서 볼 수 있는 대로(大路), 음악을 전공으로 배울 수 있는 음대(音大), 국력이 강한 나라의 사람들을 일컫는 대국민(大國民) 등에도 쓰는 글자랍니다.

이십사절기의 마지막에 있으며 일 년 중에 가장 춥다는 대한(大寒)에도 쓰는 글자예요.

 

어르신들의 이야기 중에 大寒小寒 집에 놀러 왔다가 얼어 죽었다고 하는 말을 들어본 적 있어요.. 아마 소한쯤의 기온이 더 낮거나 춥다고 여겨지는 시기인가 봐요.

 

大 글에서 나열된 한자

中(가운데 중),   小(작을 소),   漢(한수 한),   字(글자 자),   强(굳셀 강),   國(나라 국),   一(한 일),   路(로),   音(소리 음),   民(백성 민),   寒( 한),   

 

2.(한국 , 나라 이름 ) - 해 뜨는 동쪽의 아름다운 나라를 표현한 글자래요.

많이 본 글자여서 읽을 수 있지만 써보지 않으면 잘 기억하기 어려운 글자예요. 크게 몇 번 적어 보고 글자를 예뻐라 해주면 잘 기억할 수 있답니다.

글자를 하나하나 분해하여 十日十, 과 같이 들어가 있는 조각 글들을 살피면서 자기만의 방식으로 이야기를 붙이면서 하면 기억하기 쉽답니다.

 

한(韓) 한자는 한반도(韓半島)의 오래된 역사 속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삼한(三韓)의 나라 이름에서도 글자를 볼 수 있어요. 어린이들은 시간이 조금 더 지나서 한국사를 배울 때 마한(馬韓), 진한(辰韓), 변한(弁韓)의 나라 이름을 배우게 될 거예요.

삼한이 있던 시기에 한반도에는 나라가 여럿 있었는데 상황과 년도 외우기가 복잡하고 어렵고 그랬대요.

 

우리 어린이들이 공부를 하는 방법 중에서 시각적인 방법과 청각적인 방법에서 어느 한쪽이 조금 더 발달되어 있을 수 있어요.

한반도의 남부 지역에 삼한이 있었다더라 하는 설명보다는 지도 그림 딱 펼쳐 놓고 직접 따라 그리고 여기 여기 여기 나라 이름 적고, 그리고 주요 상황들 적으면서 이야기로 풀어가며 하면 이해하는데 조금 더 쉬울 수도 있어요.

 

한국(韓國)을 기준으로 하는 말에 사용하는 한국인(韓國人), 한국어(韓國語), 한복(韓服), 한옥(韓屋) 등에도 사용하는 글자랍니다.

한국의 고유 전통 의학과 관련된 한의사, 한방, 한약 등에도 사용하는 글자입니다..

반응형

 

하나 더 알아보기

중부지방에 아름답게 흐르는 한강을 적을 때 당연 韓 글자를 쓰지 않을까 혼동이 되기도 하지만, 한문(漢文)한자(漢字)를 쓸 때의 漢을 사용하여  한강(漢江)으로 적어요.

 

韓 글에서 나열된 한자

十( 십),   日( 일),   韋(가죽 위,울타리 위),   半( 반),   島( 도),  三( 삼),   馬(마),    辰( 진),    弁(고깔 변),    人(사람 인),    語(말씀 어),    服( 복),    漢(한수 한),    文(글월 문),    字(글자 자),    江(큰 내 강)

3.(백성 ) - 다스림을 받는 백성을 표현한 글자라네요.

民은 다섯 번에 나누어 적는 5획의 글자예요.

글자표에서 民 글자가 마치 6획으로 보이지만 왼쪽의 내려 긋는 획의 밑 부분은 한 획입니다. 한글을 쓸 때도 모양을 내서 각각 무슨무슨 체라고 하듯이 한자에도 그렇다고 그래요.

 

민(民) 한자는 서울 시민(市民), 경기 도민(道民), 동네 주민(住民), 원래 오래전부터 살고 있는 사람을 말하는 원주민(原住民) 등에 사용하며, 공무원이나 군인처럼 공적인 업에 종사하지 않는 보통의 사람들인 민간인(民間人)이나 사람들의 마음을 살핀다고 할 때 민심(民心)을 살핀다고 해 사용해요.

민족(民族)이나 민주적(民主的) 등에서 쓰이는 글처럼 사람의 집단성이 있음에서 아울러 말할 때 주로 사용해요.

 

民 글에서 나열된 한자

市(저자 시),    道( 도),      住( 주),    原(근원 원),     間(사이 간),    人(사람 인),    心 (마음 심),    

(겨레 족),   (주인 주),    的(과녁 적),

 

4.(나라 ) - 큰 입구(口)인 네모 안에 或 (혹시 ) 글자를 넣어 놓았어요. 빨리 쓰는 글에는 王 글자나 玉 글자를 넣어 쓰기도 한대요. 큰 입구(口)는 '에워쌀 위'라고 하기도 해요.

 

아주 먼 옛날에는 큰口로만 쓰기도 했대요. 시대에 따라 글자의 변화가 있음을 한글에서도 알 수 있어요. 어른들은 잔디, 성냥갑을(잔듸, 성냥곽)처럼 적었더래요. 새로 나온 책과 글을 자주 읽지 않는다면 여전히 그 시절 그 글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지요. '읍니다'처럼 습관화된 글들은 매 번 고쳐 적게 된다고 해요.

 

國(국) 한자는 나라의 땅인 국토(國土), 국토를 갖고 있으며 거기 사는 사람들이 주권을 갖고 있는 집단의 국가(國家), 국가에 대하여 권리와 의무를 갖는 사람들은 국민(國民)을 적을 때 사용해요.

전국체전이나 전국대회와 같이 온 나라 전체를 쓸 때의 전국(全) 국내(國內), 국외(國外)에도 적어요.

 

똘똘이는 지난번에 상자그림 글자표를 보면서 내외(內外) 한자를 적어 본 적이 있어서 기억한대요.

그래서 한국인(韓國人), 내국인(內國人), 외국인(外國人)을 읽기도 하며 쓸 수 있게 되었어요.

 

國 글에서 나열된 한자

口(큰 입 구, 에워쌀 위),    或(혹시 혹),    王(임금 왕),    玉(구슬 옥),   土( 토),    家( 가),    民(백성 민),   

(온전할 전),    內(내),    外(바깥 외)

대한민국 춘 하 추 동 8글자를 한자로 적어 글자 표로 만들고 훈 음을 적어 기억하기 쉽도록 하였습니다.
대한민국 춘하추동 한자

춘하추동(春夏秋冬) 한자의 훈음(訓音)과 각 한자와 함께 사용하는 문자

5. ( 춘) - 三, 人, 日 세 글자가 모여 있는 글자로 기억하기 매우 쉬운 글자예요.

인(人) 글자를 적을 때 오른쪽 획을 삼(三) 번째 획 아래에 맞추어 적으면 예쁘게 쓸 수 있어요.

햇살 좋은 삼월(三月)이면 바깥나들이를 하고 싶어지는 시기예요. 새싹이 돋는 계절이며 나물 캐러 다니거나 산책하기 좋은 시기랍니다. 日(일) 글자는 해를 표현한 글자예요.

똘똘이도 이렇게 간단한 글자들은 지난번에 배운 적 있어서 잘 기억할 수 있어요.

 

春(춘) 한자는 양력 2월 4일 경이며 이십사절기 중의 하나인 입춘(立春), 밤과 낮의 길이가 같다는 춘분(春分)에 사용하는 글자입니다. 춘분도 이십사절기로 경칩과 청명 사이에 있으며 양력 3월 21일경의 봄날을 말해요.

어린이들은 음력과 양력을 잘 모를 수도 있어요. 보통 사용하는 달력에 큰 글씨의 숫자는 양력 그 아래 조그맣게 적힌 숫자가 음력 날자인 거예요. 양력은 지구가 태양을 음력은 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시간을 기준으로 만든 것으로 어르신들 사용하는 커다란 벽걸이 달력에는 한자로 적혀 있기도 해요.

강원도 춘천(春川)에 사는 친구들은 쓰기 쉽고 기억하기 쉬운 이에요.

중2쯤에 나타나는 그 무섭다는 사춘기(思春期),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젊음을 말하는 꽃다운 나이라는 16세 이팔청춘(二八靑春), 봄이 돌아옴을 말하는 회춘(回春)은 쇠약하였던 건강을 회복하였을 때 사용하기도 해요.

 

三( 삼),   人(사람 인)   日( 일),   月( 월),  立( 입),   分(나눌 분)   川( 천),   思(생각할 사),   

(기약할 기),   二( 이)   靑(푸를 청),   回(돌아올 회)

지난번에 배워서 알고 있는 글자들은 눈으로 읽기만 하는 것보다 자신 있게 다시 한번 적어 보면 기억하는데 도움이 될 거예요.

 

6.(여름 ) - 더운 여름이에요. 뜨거운 태양 아래에서는 천천히 걷는 것조차 힘들어요.

모양의 한자는( 천천히걸을 쇠)라는 글자예요.

글자 위에는 머리를 표현한 글자라는데 首(머리 수) 모양과 조금 다르잖아요. 어떻게 변화가 된 것인지 한자를 잘 아시는 큰어른께 여쭈어 보아야 될 것 같아요. 지금 쓸 때에는 百(일백 백) 글자 중간에 획이 하나 더 있다고 기억하면 쉬울 거예요.

夕(저녘 석)한자와 혼동하기 없기예요. 닮은꼴 글자로 기억해 두면 좋을 것 같아요.

 

夏(하) 한자는 여름 계절인 6월에서 8월의 시기를 말하는 하절기(夏節期), 여름이 시작하는 시기인 입하(立夏), 일 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긴 하지(夏至), 立夏와 夏至는 이십사절기 중에 속하는 날이기도 해요.

교복을 입는 학생들의 하복(夏服)을 적을 때도 쓰는 글자예요.

 

(천천히걸을 쇠),   首(머리 수),   百(일백 백),   夕(저녘 석)   節(마디 절),   期(기약할 기),  立( 입),   

至(이를 지)   服( 복)

반응형

 

7. 秋(가을 ) - 벼가 익어가는 계절을 표현한 글자래요.

똘똘이는 요일 한자를 배울 때火(불 화)木(나무 목)을 기억하고 木 글자를 배울 때 禾(벼 화)도 잊지 않고 기억한대요.

 

秋(추) 한자는 가을로 들어서는 시기인 입추(立秋), 9월 20일 경이면 춘분과 같이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진다는 추분(秋分), 커다란 보름달 뜨는 음력 8월 15일 한국의 명절인 추석(秋夕)에 사용하는 글자예요.

봄과 가을을 아울러 춘추(春秋)라고 해요. 언니 오빠 학생들은 기온이 비슷하여 봄과 가을에 같은 옷인 춘추복(春秋服)을 입기도 해요.

어른들의 나이를 높여서 춘추라고 하기도 해요. 우리는 연세(年歲)라고 하는 말을 더 많이 알고 사용해요.

 

火( 화),   木(나무 목)   禾(화),   立( 입),  分(나눌 분),   夕(저녘 석)   春( 춘),   服( 복)   

年( 연),     歲(세)

 

8.(겨울 ) 夊는 여름 하(夏) 글자에서 보았던 모양이에요. 아래 있는 글자 모양은 (이수변)이라고 해요. 글자 아래 점 두 개 톡톡 떨어트려 쓰기도 하는 모양이 예쁜 글자예요.

 

冬(동) 한자는 겨울이 시작되는 시기인 입동(立冬), 이십사절기 중의 하나인 밤의 길이가 가장 길다는 동지(冬至), 겨울에 붉게 피는 꽃인 동백꽃은 동백화(冬柏花)라고 해요.

개구리나 비야~ 암 등이 겨울 내내 콜콜 잠자는 것을 동면(冬眠) 한다고 해요. 어린이와 함께 하는 시간이라면 개구리처럼 동면하는 동물의 종류를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夏(여름 하),  (이수변)   立( 입),   至(이를 지),  柏(나무이름 백),   花( 화)   眠(면)

 

대한민국 춘하추동의 한자를 적어보면서 춘분이나 추분 또는 입춘, 입하, 입추, 입동처럼 서로 붙여 낱말이 되며 반복적으로 많이 쓰게 되는 글자도 있으며,  모양에 따라 각자 좋아하는 글자도 있어요.

쉽고 재미있게 기억할 수 있는 글자부터 함께 읽고 써 보기로 해요.

 

한자(漢字)---대중소 다소(大中小 多少) 크기와 양을 표기하는 5글자

 

지금애 종이접기

익숙한 낱말의 한자부터 읽고 쉬운 글자부터 써 보도록 하면 좋겠지요.

 

한자(漢字)---木(나무 목)자로 배우는 쉬운 10글자

木(나무 목) 글자가 들어간 것 중에 어린이들과 재미있게 이야기하면서 기억할 수 있는 한자 10개를 알아보기로 해요.

 

지금애 종이접기-338

지금애 종이접기 https://noc26.tistory.com의 모든 글과 사진은 저작권 보호를 받고 있으며, 본 블로그 내의 모든 글과 사진은 무단 복사 및 재배포를 불허합니다.

728x90
반응형